맨위로가기

GP2 시리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P2 시리즈는 2005년 시작되어 F1으로의 등용문 역할을 한 레이싱 대회이다. 루이스 해밀턴과 같은 F1 챔피언을 배출하며 주목받았지만, 참가 비용, 규정, F1과의 연계성 약화 등의 문제로 인해 경쟁력을 잃었다. 2017년 FIA 포뮬러 2 챔피언십으로 개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GP2 시리즈 - GP2 아시아 시리즈
    GP2 아시아 시리즈는 GP2 시리즈의 겨울 시즌으로, 아시아 모터스포츠 시장의 성장과 팀들에게 추가적인 레이스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운영되었으나 재정적인 어려움과 낮은 참가율로 인해 유럽 시리즈와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 2016년 폐지된 스포츠 행사 - 유럽 그랑프리
    유럽 그랑프리는 역사적으로 AIACR이 주요 그랑프리에 수여한 명칭에서 시작하여 1983년부터 2016년까지 포뮬러 원 경주 대회로 개최되었으나, 2017년부터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로 명칭이 변경되어 더 이상 유럽 그랑프리라는 이름으로 개최되지 않는다.
  • 원메이커 시리즈 - 인디카 시리즈
    인디카 시리즈는 1996년 인디 레이싱 리그로 시작하여 2003년부터 현재 명칭을 사용하는 북미 오픈휠 자동차 경주 시리즈로, 규격 섀시와 2.2리터 V6 트윈터보 엔진을 사용하는 원메이크 시리즈이며, 오벌 트랙 외에 로드/스트리트 코스에서도 경주가 진행된다.
  • 원메이커 시리즈 - 포뮬러 E
    포뮬러 E는 국제 자동차 연맹의 주관으로 도심 스트리트 서킷에서 열리는 싱글 시터 전기 자동차 경주 대회로, FIA 월드 챔피언십으로 승격되어 전기차 레이싱 기술 발전과 지속 가능한 모터스포츠에 기여한다.
GP2 시리즈
기본 정보
분류싱글 시터
국가/지역국제
출범2005년
해체2016년
드라이버 수26명
팀 수13개
섀시달라라
엔진메카크롬
타이어피렐리
드라이버 챔피언피에르 가슬리
팀 챔피언프레마 레이싱
웹사이트http://www.gp2series.com gp2series.com

2. 역사

국제자동차연맹(FIA) 관할 하의 국제 F3000을 대체하여, GP2는 F1의 사업 주도자인 버니 에클스톤과 르노 팀 대표였던 플라비오 브리아토레의 주도로 창설되었다.[27] GP2는 F1 바로 아래 단계로, F1과의 연계성이 강조되었다. 각 라운드는 F1 유럽 그랑프리의 지원 이벤트로 개최되어, F1과 같은 서킷, 머신, 타이어를 사용했기에 F1 관계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GP2 참가팀은 F1 팀이나 제조사와 협력하여 육성 드라이버를 위한 주니어 팀 역할을 수행했다.

하지만 연간 참가 비용이 2억에 달해[30] 자금력이 부족한 드라이버는 참가하기 어려웠고, 리버스 그리드 등의 규정은 신인에게 불리했으며, 잦은 접촉 사고와 거친 주행 방식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레이스 경험 축적에는 성공적이었으나, F1 진출 면에서는 평가가 엇갈렸다.


  • F1과 타이어 및 코스 차이를 제외하면 GP2와 동등했던 포뮬러 르노 3.5의 저렴한 참가 비용으로 인해[31] 드라이버들이 이탈하며 인기가 하락했다.
  • 2010년 GP3 등장 이후 F1 지망 드라이버들이 GP3를 우선시했고, 다닐 크비얏이나 발테리 보타스처럼 GP3를 거치지 않고 F1에 직행하는 경우도 생겨났다.
  • 장기간 참가 드라이버 비율이 높아졌고, 2012년 이후로는 챔피언조차 F1 진출이 어려워지는 등 F1 등용문으로서의 정체기가 나타났다.
  • 루이스 해밀턴 외에 2005년 챔피언 니코 로스베르크 (2016년 F1 우승), 2010년 챔피언 파스토르 말도나도 (2012년 스페인 GP 우승) 등 좋은 성적을 거둔 드라이버도 있었지만, 포뮬라 르노 3.5 출신에 비해 F1에서 성과를 내지 못하는 드라이버가 많아 F1 등용문으로서의 기능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상황으로 GP3와의 경쟁, 포뮬라 르노 3.5의 영향으로 GP2의 존재 가치는 약화되었다.

2016년 FIA가 F1 슈퍼 라이선스 발급을 위한 포인트 시스템[32]을 도입하며 GP2는 포뮬라 르노 3.5보다 높은 배점을 받아 주목도가 높아졌으나,[33] 2017년 FIA의 포뮬러카 레이스 카테고리 재편으로 GP2는 FIA 포뮬라 2 챔피언십으로 개편되며 사라졌다.

2. 1. 초기 (2005-2007)

2005 시즌은 기존의 F3000 챔피언십을 계승하여 처음으로 개최된 시즌이었다. 아덴 인터내셔널(Arden International)은 마지막 F3000 타이틀을 획득했기에 유력한 우승 후보 중 하나였다.

2005 시즌은 2005년 4월 23일, 산마리노 그랑프리 주말 이몰라(Imola), 이탈리아(Italy)의 엔초와 디노 페라리 자동차 경주장(Autodromo Enzo e Dino Ferrari)에서 시작되었다. 초대 시즌의 차량 번호를 결정하기 위한 프리시즌 테스트에서 아이스포츠 인터내셔널(iSport International)과 하이테크/피케 레이싱(HiTech/Piquet Racing)팀이 경쟁력을 보여주었다. 후자 팀은 전 F1 세계 챔피언 넬슨 피케(Nelson Piquet)의 자금 지원을 크게 받았는데, 이는 그의 아들의 F1 진출을 돕기 위한 것이었다.

챔피언십은 23라운드로 진행되었으며, 모나코 단일 레이스를 제외하고는 주말마다 두 번의 레이스가 열렸다. 챔피언십은 독일 출신의 니코 로즈베르크(Nico Rosberg)가 우승했고, 이후 윌리엄스F1(WilliamsF1)팀에 합류했으며, 헤이키 코발라이넨(Heikki Kovalainen)이 2위를 차지했다.

또한, GP2가 F1 머신과 같이 그루브드 타이어(grooved tyres)를 사용한 유일한 시즌이었다.

2006 시즌은 GP2 시리즈의 두 번째 시즌이었다. 니코 로즈베르크(Nico Rosberg)가 윌리엄스 F1팀으로 이적하고, 헤이키 코발라이넨(Heikki Kovalainen)이 르노 F1(Renault F1)의 예비 드라이버가 되면서, 피케 스포츠(Piquet Sports)의 넬슨 피케 주니어(Nelson Piquet Jr.)가 일찌감치 우승 후보로 떠올랐다. 하지만 ART 그랑프리(ART Grand Prix)의 알렉상드르 프레마(Alexandre Prémat)와 루이스 해밀턴(Lewis Hamilton) 또한 ART가 전 시즌 챔피언이었기에 우승 가능성이 높았다.

처음으로, 이 시즌은 2006 포뮬러 원 시즌(2006 Formula One season) 일정과 별도로 시작되어, 2006년 4월 8일 스페인 발렌시아(Valencia, Spain)의 발렌시아 서킷(Circuit de Valencia)에서 넬슨 피케 주니어(Nelson Piquet Jr.)가 첫 승리를 거머쥐었다.

넬슨 피케 주니어(Nelson Piquet Jr.)는 초반부터 선두를 달렸지만, 루이스 해밀턴(Lewis Hamilton)이 추격해왔다. 영국인 루이스 해밀턴(Lewis Hamilton)의 압도적인 질주는 그를 챔피언십 선두로 이끌었지만, 이후 넬슨 피케 주니어(Nelson Piquet Jr.)가 다시 우세를 점하게 되었다.

20개의 레이스로 이어진 챔피언십 경쟁 끝에, 루이스 해밀턴(Lewis Hamilton)은 마지막에서 두 번째 레이스인 이탈리아 몬자(Monza, Italy)의 몬자 국립 자동차 경주장(Autodromo Nazionale Monza)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21번째이자 마지막 라운드에서 2위를 차지했다.

2007 GP2 시리즈는 4월 13일 바레인 인터내셔널 서킷(Bahrain International Circuit)에서 시작하여 9월 30일 발렌시아 서킷(Circuit de Valencia)에서 종료되었다 (발렌시아 서킷 경주는 F1 캘린더에 포함되지 않은 유일한 경주였다). 최종 우승자인 티모 글록(Timo Glock)은 시리즈 내내 주도적인 역할을 했지만, 후반부에는 루카스 디 그라시(Lucas di Grassi)의 경쟁에 직면했다. 그러나 티모 글록(Timo Glock)은 발렌시아에서 열린 마지막 경주에서 승리하며 챔피언십을 확정지었다. 이 시즌은 1세대 섀시인 달라라 GP2/05(Dallara GP2/05)가 사용된 마지막 시즌이었다.

2005년부터 GP2로 재출발하여, 초기 시리즈 챔피언을 비롯한 동 카테고리 출신 드라이버들이 F1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면서 F1 진출의 등용문으로 더욱 주목받았다. 특히 2006년 챔피언인 루이스 해밀턴(Lewis Hamilton)은 F1에 데뷔하여 F1 챔피언에 등극하며, "유럽 F2나 국제 F3000 챔피언은 F1 챔피언이 될 수 없다"는 오랜 징크스를 깨뜨렸다.

2. 2. 발전과 변화 (2008-2016)

2008년, GP2 아시아 시리즈가 시작되어 2011년까지 이어졌다.[27] 2009년 챔피언은 독일 출신 신예 니코 훌켄베르크였다. 2010년에는 GP2의 하위 카테고리(F3 상당)인 GP3가 창설되었다.

2011년부터 타이어 공급 업체가 브리지스톤에서 피렐리로 변경되었다.[30] 2015년부터는 포뮬러 원에서 사용되는 드랙 감소 시스템(DRS)이 도입되었다.[31] 시리즈는 각 서킷에서 포뮬러 원과 동일한 감지 및 활성화 지점을 사용했으며, 활성화에 대한 동일한 규칙을 따랐다. 드라이버는 DRS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감지 지점에서 앞 차와 1초 이내에 있어야 했다.

GP2는 F1과의 연계성이 강조되었지만, F1과의 타이어 제조사 및 레이스 코스 차이, 포뮬러 르노 3.5의 저렴한 참가 비용,[31] GP3의 등장과 다닐 크비얏, 발테리 보타스처럼 GP3를 거치지 않고 바로 F1로 진출하는 드라이버의 등장, 2012년 이후 챔피언 드라이버조차 F1 진출이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점들이 지적되었다. 드라이버들의 평균 연령이 높아지는 현상도 나타났다.

2016년, 국제자동차연맹(FIA)이 F1 슈퍼 라이선스 발급을 위한 포인트 시스템[32]을 도입하면서 GP2는 포뮬러 르노 3.5보다 높은 배점을 받아 시리즈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기도 했다.[33]

2. 3. FIA 포뮬러 2 챔피언십으로 개편 (2017)

2016년 FIA가 F1 슈퍼 라이선스 발급 지침이 되는 포인트 시스템[32]을 도입하면서 GP2는 포뮬러 르노 3.5보다 높은 배점을 받아 시리즈의 주목도가 다시 높아지는 듯했다.[33] 그러나 2017년, FIA가 포뮬러카 레이스 카테고리를 재편하면서 GP2는 FIA 포뮬러 2 챔피언십으로 개명되는 형태로 사라졌다.

3. 규정

GP2 시리즈는 F1과 유사한 규정을 가지고 있으며, 레이스 주말, 타이어, 포인트 시스템, 드랙 감소 시스템(DRS) 등에 대한 규정이 있다.
레이스 주말레이스 주말은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 3일 동안 진행되며, 금요일에는 연습 주행과 예선, 토요일에는 피처 레이스(경주 1), 일요일에는 스프린트 레이스(경주 2)가 열린다. 피처 레이스는 170km(모나코 140km, 헝가리/러시아 160km) 또는 60분, 스프린트 레이스는 120km(모나코 100km) 또는 45분 동안 진행된다. 스프린트 레이스 출발 순서는 피처 레이스 상위 8위 역순으로 정해진다.[34]
타이어피렐리F1과 동일한 타이어를 단독 공급하며, 타이어 워머 사용은 금지된다.[34] 2011년까지는 드라이버당 4세트가 지급되었고, 경주 2에 1세트를 남겨두고 경주 1에서 최소 2개를 교체해야 했다. 2012년에는 프라임 3세트와 옵션 1세트, 2014년부터는 프라임 3세트와 옵션 2세트가 지급되며, 경주 1에서 4개 타이어를 모두 교체하고 두 가지 사양을 모두 사용해야 한다.
포인트 시스템2011년까지는 경주 1 폴 포지션(PP) 2점, 최고 속도 기록(FL) 1점(2005년 2점), 상위 8명에게 10, 8, 6, 5, 4, 3, 2, 1점, 경주 2는 FL 1점, 상위 6명에게 6, 5, 4, 3, 2, 1점이 주어졌다. 2012년부터는 경주 1 PP 4점, FL 2점, 상위 10명에게 25, 18, 15, 12, 10, 8, 6, 4, 2, 1점, 경주 2는 FL 2점, 상위 8명에게 15, 12, 10, 8, 6, 4, 2, 1점이 주어졌다. FL은 각 경주 10위권 내, 정규 그리드 출발, 경주 2 타이어 미교체 시에만 인정된다.[34]
DRS (드래그 감소 시스템)2015년부터 포뮬러 원과 동일한 드랙 감소 시스템(DRS)이 도입되었다.[34]

3. 1. 레이스 주말

레이스 주말은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 3일 동안 진행된다.[5]

금요일에는 45분간의 자유 연습 세션과 30분간의 예선 세션을 진행한다. 예선 결과에 따라 토요일에 열리는 피처 레이스(Feature Race)의 출발 순서(그리드)가 결정된다.

토요일에는 피처 레이스가 열린다. 총주행 거리는 170km(모나코는 140km, 헝가리와 러시아는 160km)이며, 60분 안에 완주해야 한다. 드라이버는 6랩 이후 최소 1회 의무적으로 피트 스톱을 하고 타이어를 교체해야 한다.

일요일에는 스프린트 레이스(Sprint Race)가 열린다. 총주행 거리는 120km(모나코는 100km)이며, 45분 안에 완주해야 한다. 스프린트 레이스의 출발 순서는 토요일 피처 레이스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데, 상위 8명의 순위가 뒤바뀌는 역그리드 방식이 적용된다.[34] 즉, 피처 레이스에서 8위를 한 드라이버가 가장 앞에서 출발하고, 1위를 한 드라이버는 8번째 자리에서 출발한다. 타이어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 한 타이어 교체는 금지된다.

요일세션내용
금요일자유 연습45분
예선30분, 피처 레이스 출발 순서 결정
토요일피처 레이스 (경주 1)170km (모나코 140km, 헝가리/러시아 160km) 또는 60분, 6랩 이후 최소 1회 의무 피트 스톱 (타이어 교체)
일요일스프린트 레이스 (경주 2)120km (모나코 100km) 또는 45분, 피처 레이스 상위 8위 역그리드 방식, 타이어 교체 금지 (타이어 문제 발생 시 제외)


3. 2. 타이어

GP2 시리즈의 타이어 규정은 다음과 같다.

  • 타이어 공급: F1과 동일하게 피렐리가 타이어를 단독으로 공급한다. GP2 시리즈는 F1과 같은 컴파운드를 사용하며, 앞 타이어 크기는 245/660-R13, 뒷 타이어 크기는 325/660-R13이다. 2011년 이전에는 브리지스톤이 2005년부터 2010년까지 공식 타이어 파트너였다.[34]
  • 타이어 워머 사용 금지: 타이어 워머 사용은 금지된다.[34]

타이어 지급 및 교체 규정 변화

연도지급 세트세부 규정
2011년까지타이어 4세트
2012년프라임 3세트, 옵션 1세트
2014년 이후프라임 3세트, 옵션 2세트


3. 3. 포인트 시스템

GP2 시리즈는 2005년부터 2016년까지 시즌별로 다른 포인트 시스템을 사용했다.

2005년부터 2011년까지는 토요일 피처 레이스에서 폴 포지션을 기록하면 2점, 각 레이스에서 가장 빠른 랩 타임(Fastest lap, FL)을 기록하면 1점(2005년에는 2점)을 추가로 얻을 수 있었다. 최고 속도 기록은 레이스 랩의 90% 이상을 주행하고, 지정된 그리드 위치에서 출발하며, 상위 10위 안에 들어야 인정되었다. 이 규정에 따라 한 라운드에서 최대 20점을 획득할 수 있었으며, 넬슨 피케 주니어와 니코 훌켄베르크가 이 기록을 달성했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는 포뮬러 원과 유사한 채점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피처 레이스 폴 포지션은 4점, 각 레이스 최고 속도는 2점으로, 한 라운드 최대 점수는 48점이 되었다.

3. 3. 1. 2005-2011

토요일 경주에서 폴 포지션을 차지한 드라이버는 2점을 받았다.[6]

각 경주에서 가장 빠른 랩 타임을 기록한 드라이버에게는 1점이 주어졌다. 단, 2005년 시즌에는 각 경주에서 2점이 주어졌다. 최고 속도를 기록한 드라이버는 경주 랩의 90%를 주행해야 했다. 2006년 시즌부터는 드라이버가 배정된 그리드 위치에서 출발해야 했으며, 2008년부터는 최고 속도 점수를 받으려면 경주에서 상위 10위 안에 들어야 했다.[6]

이 채점 방식으로 한 라운드에서 얻을 수 있는 최대 점수는 폴 포지션을 차지하고 두 경주 모두에서 각 경주 최고 속도를 기록하여 20점이었다. 이 기록은 단 두 번 달성되었는데, 넬슨 피케 주니어는 2006 시즌 9라운드 헝가로링에서, 니코 훌켄베르크는 2009 시즌 5라운드 뉘르부르크링에서 달성했다.[6]

피처 레이스 채점 방식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FL 
10865432122 (2005)
1 (2006–2011)



스프린트 레이스 채점 방식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FL 
6543211


3. 3. 2. 2012-2016

2012 시즌부터 GP2 시리즈는 채점 방식을 변경했다.[6] 피처 레이스는 포뮬러 원에서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채점 방식을 사용했다.

피처 레이스의 폴 포지션은 4점, 각 경주 최고 속도는 2점이었다. 따라서 드라이버가 한 라운드에서 얻을 수 있는 최대 점수는 48점이다.

피처 레이스 채점 방식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9위  10위    FL 
25181512108642142



스프린트 레이스 채점 방식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FL 
151210864212



2012년부터 경주 1(피처 레이스)에서 폴 포지션(PP)에 4점, 최고 속도 기록(FL)에 2점, 상위 10명에게 25, 18, 15, 12, 10, 8, 6, 4, 2, 1점이 주어졌다. 경주 2(스프린트 레이스)는 FL에 2점, 상위 8명에게 15, 12, 10, 8, 6, 4, 2, 1점이 주어졌다. 최고 속도 기록은 각 경주 10위 안에 들어야 하며, 정규 그리드에서 출발해야 하고, 경주 2 중에는 타이어를 교체하지 않아야 획득할 수 있었다.[34]

3. 4. DRS (드래그 감소 시스템)

2015년부터 포뮬러 원에서 사용되는 드랙 감소 시스템(DRS)이 도입되었다.[34] 시리즈는 각 서킷에서 포뮬러 원과 동일한 감지 및 활성화 지점을 사용했으며, 활성화에 대한 동일한 규칙을 따랐다. 드라이버는 DRS를 사용하기 위해 감지 지점에서 앞 차와 1초 이내에 있어야 했다.[34]

4. 차량

달라라 섀시, 메카크롬 V8 엔진(르노 설계, 하이네 마더 튜닝)의 원메이크이다. 모든 팀은 메카크롬 사의 자연흡기 V8 엔진과 피렐리 사의 드라이 슬릭 및 웻 타이어를 탑재한 달라라 사의 탄소 섬유 모노코크 섀시를 사용한다. 드라이버를 포함한 전체 무게는 688kg이다.[35]

GP2 시리즈 차량 제원 (2011-2016)
항목내용
엔진메카크롬 V8, 4.0리터 자연흡기[7] (10,000rpm 제한), 4000~4500km마다 오버홀.
출력약 612마력[7]
변속기휴랜드(Hewland) 6단 시퀀셜 변속기 (패들 시프트, 후진 기어 포함)
무게688kg (드라이버 포함)[35]
타이어브리지스톤 (2005-2010), 피렐리 (2011-2016)
섀시달라라 GP2/05 (2005-2007), 달라라 GP2/08 (2008-2010), 달라라 GP2/11 (2011-2016)



섀시는 원칙적으로 3년 주기로 변경되었다.[36] 2008년형은 냉각 성능은 향상되었지만, 엔진 스톨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2015년부터는 포뮬러 원과 마찬가지로 드랙 감소 시스템(DRS)이 도입되었다.[38]

5. 챔피언

GP2 시리즈의 역대 챔피언은 다음과 같다.

드라이버
연도시리즈 챔피언국적소속팀
2005니코 로스베르그ART 그랑프리
2006루이스 해밀턴ART 그랑프리
2007티모 글록아이스포츠 인터내셔널
2008조르조 판타노 이탈리아레이싱 엔지니어링
2009니코 훌켄베르크ART 그랑프리
2010파스토르 말도나도 베네수엘라라파엑스
2011로망 그로장 프랑스DAMS
2012다비데 발세키 이탈리아DAMS
2013파비오 라이머 스위스레이싱 엔지니어링
2014조리온 팔머 영국DAMS
2015스토펠 반도른 벨기에ART 그랑프리
2016피에르 가슬리 프랑스프레마 레이싱



연도시리즈 챔피언국적
2005ART 그랑프리 프랑스
2006ART 그랑프리 프랑스
2007아이스포츠 인터내셔널
2008바르와 인터내셔널 캄포스 팀
2009ART 그랑프리 프랑스
2010라파엑스 이탈리아
2011바르와 아다엑스 팀
2012DAMS 프랑스
2013로시안 타임 러시아
2014DAMS 프랑스
2015ART 그랑프리 프랑스
2016프레마 레이싱 이탈리아


5. 1. 드라이버 챔피언

시즌드라이버폴 포지션우승포디엄최고 속도 랩포인트달성 가능 포인트(%)확정차이
2005Nico Rosberg|니코 로즈베르그영어ART 그랑프리4512512052.2882005 바레인 피처 레이스15
2006Lewis Hamilton|루이스 해밀턴영어ART 그랑프리1514711453.5212006 몬차 피처 레이스12
2007Timo Glock|티모 글록de아이스포츠 인터내셔널451048841.3152007 발렌시아 스프린트 레이스11
2008Giorgio Pantano|조르조 판타노it레이싱 엔지니어링44747638.0002008 몬차 피처 레이스12
2009Nico Hülkenberg|니코 훌켄베르크deART 그랑프리3510510050.0002009 몬차 스프린트 레이스25
2010Pastor Maldonado|파스토르 말도나도es라팍스44748743.5002010 몬차 스프린트 레이스12
2011Romain Grosjean|로맹 그로장프랑스어DAMS151068949.4442011 스파-프랑코르샹 피처 레이스35
2012Davide Valsecchi|다비데 발세키itDAMS2410524742.8822012 마리나 베이 피처 레이스25
2013Fabio Leimer|파비오 라이머de레이싱 엔지니어링137120138.0682013 야스 마리나 피처 레이스20
2014Jolyon Palmer|졸리언 팔머영어DAMS3412727652.2722014 소치 피처 레이스47
2015Stoffel Vandoorne|스토펠 반도른nlART 그랑프리47167341.568.6432015 소치 스프린트 레이스160
2016Pierre Gasly|피에르 가슬리프랑스어프레마 레이싱449321941.4772016 야스 마리나 스프린트 레이스8


5. 2. 팀 챔피언

시즌폴 포지션우승포디엄최고 속도 랩포인트확정차이
2005 ART 그랑프리571971872005 스파-프랑코샹 스프린트 레이스61
2006 ART 그랑프리162291802006 이스탄불 파크 피처 레이스12
2007 아이스포츠 인터내셔널561361182007 발렌시아 피처 레이스31
2008 바르와 인터내셔널 캄포스 팀04931032008 몬차 스프린트 레이스8
2009 ART 그랑프리372261802009 알가르브 피처 레이스65
2010 라팍스54951152010 야스 마리나 스프린트 레이스5
2011 바르와 아닥스 팀42911012011 몬차 스프린트 레이스12
2012 DAMS241453422012 마리나 베이 스프린트 레이스6
2013 러시안 타임35952732013 야스 마리나 스프린트 레이스0
2014 DAMS451473492014 야스 마리나 피처 레이스57
2015 ART 그랑프리481984102015 바레인 2차 피처 레이스160
2016 프레마 레이싱691754302016 세팡 피처 레이스172


6. F1으로 진출한 드라이버

GP2 시리즈를 거쳐 포뮬러 원(F1)으로 진출한 드라이버는 다수이며, 대표적인 선수로는 루이스 해밀턴, 니코 로즈베르크, 피에르 가슬리 등이 있다.[30] 루이스 해밀턴은 맥라렌으로, 니코 로즈베르크는 윌리엄스로 바로 진출했다.[30]

2016 시즌 말까지 GP2 챔피언 12명 중 9명이 포뮬러 원에 진출하여 75%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30] 2020년 포뮬러 원 시즌 기준으로, 174명의 드라이버 중 35명(20.1%)이 포뮬러 원에서 활동했다.[30]

드라이버GP2포뮬러 원GP2 이후 주요 타이틀
시즌레이스우승포디엄최고 순위시즌첫 팀레이스우승포디엄
니코 로즈버그2005235121위2006–2016윌리엄스2062357포뮬러 원 (2016)
스콧 스피드200523053위2006–2007토로 로쏘2800글로벌 랠리크로스 챔피언십 (2015, 2016, 2017)
루이스 해밀턴2006215141위2007–2024맥라렌포뮬러 원 (, –, –)
헤이키 코발라이넨2005235122위2007–2013르노11114슈퍼 GT (2016)
야마모토 사콘2007–2008210023위2006–2007, 2010슈퍼 아구리2100
나카지마 가즈키200721065위2007–2009윌리엄스3600포뮬러 니폰 (2012), 슈퍼 포뮬러 (2014), FIA WEC (2018-19)
티모 글록2006–2007407151위2004, 2008–2012조던9103
넬슨 피케 주니어2005–2006435132위2008–2009르노2801포뮬러 E (2014–15)
세바스티앙 뵈미2007–200830256위2009–2011토로 로쏘5500FIA WEC (2014, 2018-19), 포뮬러 E (2015–16)
로망 그로장2008–2011589211위2009, 2012–2020르노179010GP2 아시아 시리즈 (2008, 2011), 오토 GP (2010)
고바야시 가무이2008–2009401216위2009–2012, 2014토요타7501GP2 아시아 (2008–09), FIA WEC (2019-20)
니코 휠켄베르크2009205101위2010, 2012–2020, 2022–2024윌리엄스르망 24시간 레이스 (2015)
비탈리 페트로프2006–2009694112위2010–2012르노5701
루카스 디 그라시2006–2009755212위2010버진1800포뮬러 E (2016–17)
브루누 세나2007–200841392위2010–2012HRT4600
카룬 찬독2007–2009612510위2010–2011HRT1100
파스토르 말도나도2007–20107210181위2011–2015윌리엄스9511
세르히오 페레스2009–201040592위2011–2024자우버
제롬 담브로시오2008–201058179위2011–2012버진2000
샤를 픽2010–201137374위2012–2013마루시아3900
에스테반 구티에레스2011–201241493위2013–2014, 2016자우버5900
쥘 비앙키2010–2011371103위2013–2014마루시아3400
맥스 칠턴2010–201262244위2013–2014마루시아3500
히도 반 더 가르데2009–2012825185위2013캐터햄1900유러피언 르망 시리즈 (2016)
마르쿠스 에릭손2010–2013843136위2014–2018캐터햄97002022 인디애나폴리스 500
알렉산더 로시2013–2015534112위2014–2015마루시아5002016 인디애나폴리스 500
펠리페 나스르2012–2014684203위2015–2016자우버3900웨더테크 스포츠카 챔피언십 (2018)
졸리언 팔머2011–2014847181위2016–2017르노3500
리오 하리얀토2012–201589374위2016마노르1200
스토펠 반도른2014–20154311261위2016–2018맥라렌4100포뮬러 E (2021–22)
안토니오 조비나치201622582위2017, 2019–2021자우버6200
피에르 가슬리2014–2016494131위2017–2024토로 로쏘
브랜든 하틀리2010–2012120019위2017–2018토로 로쏘2500FIA WEC (2015, 2017), 르망 24시간 레이스 (2017, 2022)
세르게이 시로트킨2015–2016433133위2018윌리엄스2100
니콜라스 라티피2014–2016310116위2020–2022윌리엄스



'''굵게''' 표시된 드라이버는 현역 포뮬러 원 드라이버이다.[30]


  • 글록은 2004년 조던에서 4번의 그랑프리에 출전했다. GP2 2006-07 시즌 이후 그의 첫 포뮬러 원 팀은 토요타였다.[30]
  • 로망 그로장은 2010년 포뮬러 원 자리를 잃은 후 GP2로 복귀했다. 그는 2012년 로터스 르노와 계약을 맺고 포뮬러 원으로 돌아왔다.[30]
  • 알렉산더 로시는 2015년 포뮬러 1 시즌 마지막 7경기 중 5경기에서 로베르토 메르히의 마노르 자리를 차지했다.[30]
  • 2008 GP2 챔피언 조르지오 판타노는 GP2에서 활동하기 전에 2004년 포뮬러 원에서 조던 소속으로 활동했다. 그는 이전에 F3000에서 활동한 경력이 있다.[30]
  • 지안마리아 브루니와 안토니오 피조니아 또한 GP2에서 레이스에 출전하기 전에 포뮬러 원에서 활동했다.[30]
  • 사콘 야마모토는 2006년 슈퍼 아구리에서 F1에 출전했다. 2007년 그는 GP2로 내려왔고, 시즌 중반 스파이커에서 F1로 돌아왔다. 그 후 2010년 HRT에 합류했다.[30]
  • 이 표는 까지의 내용이다.[30]

7. 문제점

메카크롬(Mecachrome)이 공급하는 엔진의 성능 편차가 심하고, 엔진 교체 및 오버홀 주기가 주최측의 재량으로 결정되는 등 각 팀에서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35]

프런트 노즈의 부착 구조가 복잡하여 파손 시 교체가 F1 등 다른 카테고리보다 번거롭다.

엔진 열량이 크고, 아이들링 중 등 내부 온도 상승에 따른 시스템 보호를 위한 셧다운 제어가 작동하여 엔진 스톨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35]

구동계(특히 클러치)의 문제가 비교적 많으며, 4L 엔진의 큰 토크를 받아들이는 구조로서는 저사양이라는 지적이 처음부터 있었고, 달라라(Dallara)에서 여러 차례 개선 부품을 공급하고 있다.[35]

프런트 노즈 구조는 2008년 사양보다 개선되었다. 또한 동시에 냉각 성능 향상을 도모했지만, 엔진 자체가 캐리오버(carry-over)이기 때문에 엔진 스톨 문제는 근본적인 해결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35]

8. 한국 중계

일본에서는 CS 채널인 후지TV ONE과 후지TV NEXT에서 녹화 방송을 했으나, 이후 F1GP 뉴스에서 레이스 하이라이트 방송을 시작했다.

2016년 8월부터 스포츠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 “DAZN”이 일본에서 서비스를 시작하여, 모든 세션 영상과 상위 카테고리 F1의 생중계 및 관련 프로그램을 일본어로 제공하고 있다.[39][40]

참조

[1] 뉴스 Formula One experiments with its minor league 2005-06-01
[2] 웹사이트 grandprix.com http://www.grandprix[...] 2005-08-11
[3] 웹사이트 autosport.com http://www.autosport[...] 2008-10-03
[4] 웹사이트 GP2 SERIES™ AND GP2 ASIA SERIES™ TO BE MERGED http://www.gp2series[...] 2011-12-07
[5] 웹사이트 Home - Formula 2 http://www.gp2series[...]
[6] 웹사이트 GP2 adopts Formula 1-like tyre rules for 2012 http://www.autosport[...] Autosport 2011-10-04
[7] 웹사이트 Spicer Horsepower and Torque Calculator https://spicerparts.[...]
[8] 웹사이트 GP2 Series Standings 2005 https://motorsportst[...] Motorsport Stats 2023-10-09
[9] 웹사이트 GP2 Series Standings 2006 https://motorsportst[...] Motorsport Stats 2023-10-09
[10] 웹사이트 GP2 Series Standings 2007 https://motorsportst[...] Motorsport Stats 2023-10-09
[11] 웹사이트 GP2 Series Standings 2008 https://motorsportst[...] Motorsport Stats 2023-10-09
[12] 웹사이트 GP2 Series Standings 2009 https://motorsportst[...] Motorsport Stats 2023-10-09
[13] 웹사이트 GP2 Series Standings 2010 https://motorsportst[...] Motorsport Stats 2023-10-09
[14] 웹사이트 GP2 Series Standings 2011 https://motorsportst[...] Motorsport Stats 2023-10-09
[15] 웹사이트 GP2 Series Standings 2012 https://motorsportst[...] Motorsport Stats 2023-10-09
[16] 웹사이트 GP2 Series Standings 2013 https://motorsportst[...] Motorsport Stats 2023-10-09
[17] 웹사이트 GP2 Series Standings 2014 https://motorsportst[...] Motorsport Stats 2023-10-09
[18] 웹사이트 GP2 Series Standings 2015 https://motorsportst[...] Motorsport Stats 2023-10-09
[19] 웹사이트 GP2 Series Standings 2016 https://motorsportst[...] Motorsport Stats 2023-10-09
[20] 웹사이트 Current teams confirmed for 2008 http://www.autosport[...] Autosport.com 2007-10-19
[21] 웹사이트 New Valencia track secures GP2 race http://www.autosport[...] Autosport.com 2008-04-18
[22] 웹사이트 New car passes F1 crash tests https://web.archive.[...] Autosport.com 2007-10-05
[23] 웹사이트 Teams and Drivers https://web.archive.[...] itv.com 2008-03-26
[24] 웹사이트 GP2, FIA GT, DTM and SF on Setanta https://web.archive.[...] Setanta Sports 2009-05-01
[25] 웹사이트 british-eurosport secures gp2 http://uk.eurosport.[...] 2022-02-00 # Dead link, date is approximate.
[26] 웹사이트 Sky Sports to show GP2 & GP3 https://web.archive.[...] Sky Sports 2012-02-02
[27] 문서 フォーミュラ2
[28] 웹사이트 バーニー・エクレストン、“GP1"の商標を持ってFOTAサイドへ着く!? https://www.as-web.j[...] オートスポーツweb 2009-07-13
[29] 웹사이트 ブリアトーレがGP1シリーズの規定を策定? Formula 1 F1ニュース ESPN F1 https://web.archive.[...] 2017-07-06
[30] 웹사이트 特集:金持ちの世界 Formula 1 F1 特集 ESPN F1 https://web.archive.[...] 2011-11-28
[31] 뉴스 GP2とフォーミュラ・ルノー3.5、F1ドライバーへの近道は? http://f1-gate.com/d[...] F1-Gate.com 2013-11-06
[32] 웹사이트 スーパーライセンス発給条件を数値化、SFも対象 https://www.as-web.j[...] AUTOSPORT web 2015-01-06
[33] 웹사이트 レッドブル、育成2人をGP2に投入 Formula 1 F1ニュース ESPN F1 https://web.archive.[...] 2016-03-06
[34] 문서 레이스1에서 8위 드라이버가 폴 포지션, 레이스1 우승자가 8번 그리드에서 출발.
[35] 웹사이트 The car and engine http://gp2series.com[...]
[36] 뉴스 GP2、コスト削減のために新シャシー導入を断念 http://f1-gate.com/g[...] F1-gate.com 2013-06-18
[37] 웹사이트 GP2、来季もGP2/11シャシー使用。新車導入を2018年に延期 https://www.as-web.j[...] AUTOSPORTweb 2016-07-05
[38] 뉴스 GP2、2015年からF1型DRSの導入を決定 https://www.as-web.j[...] AUTOSPORT web 2014-09-18
[39] 뉴스 F1やプロ野球 横浜・広島も。月額1,750円のスポーツライブ配信「DAZN」開始 https://av.watch.imp[...] AV Watch 2016-08-23
[40] 뉴스 DAZN、F1解説に小倉茂徳を起用 http://f1-gate.com/t[...] F1-Gate.com 2016-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